합수언행록

 
 
 
제목23-헌신2019-01-01 11:15
작성자

22. 헌신하는 사람들


한청년은 자나 깨나 학습이었다. 학습 자료는 회원들이 내놓은 책들과 한국에서 들여온 신간들이었다. 회원들이 내놓은 책들은 수준 높은 것들이었다. 윤한봉도 학습에 참여해 머리를 맞대고 토론했다. 언제나 결론은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실천의 문제였다. 윤한봉은 철저한 실천가였다.

윤한봉은 선동가도 아니요, 웅변가는 더더욱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말을 아주 잘 했다. 그의 말에는 설득력이 있었다. 미주 한청년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연설을 할 때이다. 처음 연단에 오르면 다소 쭈뼛거리듯 어색한 표정을 한다. 행색 또한 농대출신의 예비 농사꾼 그대로인 촌놈이었다. 그러나 그의 연설이 진행되면 청중은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빠져 들게 된다. 그의 말은 청중으로 하여금 마음의 문을 열게 하는 묘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다.

윤한봉이 한청련 동료들에게 사랑을 받고 아직도 잊히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삶의 방식을 바꿔놓았기 때문이었다. 윤한봉은 늘 강조했다. 한청련 회원이라면 한 인간으로서 주변 사람들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운동가 자신이 올바로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귀가 아프도록 강조했다. ‘운동가는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화를 위해 어떻게 노력할 것인가? 거창한 행동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화장지가 떨어졌다. 새 화장지를 끼워놓고 나오는 것이 새로운 삶이다. 식당에서 음식을 먹은 후 접시를 한쪽에 쌓아주는 것이 새로운 삶이다. 매우 사소한 것 같은데, 이런 구체적인 사례들은 청년들의 가슴에 감동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김희숙에 의하면 ‘착하게 사는 것만이 최선이 아니다’면서 윤한봉이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미스 코리아를 보자. 왜 미인대회에서 미(美)가 3등일까? 아름다울 미(美)보다는 착할 선(善)이 훌륭한 미덕이고, 착할 선보다는 참 진(眞)이 더 훌륭한 미덕인 거여. 진실을 모를 경우, 선(善)은 악(惡)의 이용물이 돼. 그래서 착하게만 살아서는 안 되고 공부를 해야 하는 거여. 학습을 한 후 놀라워하는 김희숙에게 윤한봉은 빙긋이 웃으면서 말하더라는 것이다. ‘어때 모르면서 안 할 수는 있어도 알면서 안 할 수는 없겠제? 알면서 하지 않는 것은 죄를 짓는 거여!’라며 협박을 했다는 것이다. 또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자기 자신도 변화시키지 못하면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 신뢰를 받기 위해선 역지사지(易地思之)와 언행일치(言行一致), 책임감(責任感)과 성실성(誠實性), 근면(勤勉)과 검소(儉素), 겸손(謙遜)과 의분(義憤)을 가져야 한다. 설거지를 다 한 뒤에는 뒤처리를 깨끗이 해야 한다. 수도 뒤의 안 보이는 부분이며 바닥에 떨어진 물까지 다 깨끗이 치워야한다. 운동하는 사람이 앞에 보이는 것만 깨끗하게 하고 안 보이는 부분은 더럽게 하면 그건 운동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자세가 아니다.

 

윤한봉의 미덕은 이 원칙들을 직접 실천한다는 데 있었다. 한 번은 민족학교의 변기가 막혔다. 꽉 막힌 변기는 대변으로 넘실거렸다. 이때 윤한봉은 변기에 손을 집어넣어 똥덩이를 끄집어냈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나이든 운동가들 중에는 권위주의적인 이들이 많다. 단체에서의 직위 문제, 행사 때 인사하는 순서로 화를 내는 이들이 있다. 일상생활에서도 어른대접 받는 것을 당연시하고 잔심부름은 아랫사람에게 시키는 것을 당연시했다. 윤한봉은 확실히 그런 점에서 탈권위적이고 개방적이었다. 오랫동안 그와 함께 한, 신경희의 증언이다.


권위가 있었으면 아마 내가 가까이 갈 수 없었겠죠. 마치 토끼가 호랑이 등을 타고 노는 것처럼 편했어요. 일할 때는 엄청나요. 무지하게 야단을 쳤어요. 회의 땐 인정사정없었어요. 상대방이 권위적이면서 삐딱하게 나온 꼴을 못 봤어요. 그렇지만 자기의 권위를 내세우는 일은 절대 없어요. 아무리 어린 상대라도 아주 마음 편하게 친구처럼 지냈죠.

 

한청련 회원들은 절제와 헌신, 희생과 상부상조의 기풍으로 스스로를 훈련했다. 검소와 근면, 성실과 진실이 한청련의 미덕이었다. 물론 이런 덕목들은 교육과 훈련으로 키워져야했다. 동시에 회원으로 끌어들일 사람에 대한 엄격한 검토가 필요했다.

인간에 대한 예의바른 행실도 중시했다. 나이 많은 어른이나 여성, 장애자, 흑인을 배려할 것을 누누이 강조했다. 윤한봉은 인디언을 원주민으로, 깜둥이로 불리던 흑인을 흑인형제로 부르게 하는 등 약소민족에 대한 존중을 일상화하도록 했다.

윤한봉이 버릇처럼 반복하여 강조한 것은 ‘날 좀 보소’가 되지 말라는 것이었다. 남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망처럼 뿌리 깊은 욕망이 있을까? 그런데 윤한봉은 ‘알아주기 바라는 마음’까지 버리자고 했다.

윤한봉은 결벽증에 가까운 태도로 이를 경계했다. 그는 ‘날 좀 보소’ 식 운동은 안 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마찬가지로 게으르고 눈치만 보는 뺀질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도 끊임없이 강조했다.

윤한봉은 사람을 설득하고 조직하는 데는 천부적인 능력을 갖고 있었다. 그의 추진력과 회원들의 헌신으로 한청련은 결성 2년 만에 열군데 가까이 마당집을 세우는 데 성공했다.

 

명칭은 각기 다르게 붙였다. 산호세는 민족교육봉사원, 뉴욕은 민권센터, 필라델피아는 청년마당집, 시카고는 한인교육문화마당집, 워싱턴DC는 코리아홍보교육원,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민족교육문화원이라 불렀다. 로스앤젤레스의 민족학교가 마당집들의 전국연합 본부였다. 각 지역 마당집들은 미국 정부에 비영리 단체로 등록해 면세 허가를 받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사장과 이사진이 필요했다. 이사는 주로 지역의 원로 선배들에게 위촉했고, 한청련 회원들은 원장이나 총무, 실무자를 맡았다. 한청련 일반 회원들은 마당집의 자원봉사자를 맡았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이전22-재미 한청련2019-01-01
-23-헌신2019-01-01
다음24-국제연대2019-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