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사업회 소식

제목<13주기 추모식 언론보도 (한겨레 등) 모음>2020-06-27 16:29
작성자

13주기 추모식 언론 보도 입니다.

    

<한겨레 신문>


‘5·18 마지막 수배자합수 윤한봉 선생 타계 13돌 추모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0062650225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750pixel

 

   ‘5·18 마지막 수배자였던 고 윤한봉(1947~2007) 선생의 타계 13돌 추모식이 열린다.

 

  사단법인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는 27일 오전 11시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추모식을 연다. 추모식은 김은경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 이사장과 이용섭 광주시장의 인사말, 문규현 초대 이사장과 최용탁 재미한청련 문화부장의 추도사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 쪽은 이번 추도사에 북·미 회담 결렬 후 악화하고 있는 한반도 정세에 대응하는 당부 등을 담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재미한인교육봉사단체협의회(나카섹·NAKASEC)가 특별 활동 보고를 할 예정이다. 나카섹은 재미 한청련의 후신으로 해외 이주민들의 권익 쟁취운동을 전개하는 인권단체로 지금은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주도하고 있다.

  합수 윤한봉 선생은 민청학련(1974) 사건으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고 전남대에서 제적됐다. 5·18의 주모자로 수배를 받던 중 19814월 미국으로 밀항해 민족학교’(1983), ‘한국청년연합’(1984), ‘재미한겨레동포연합’(1987) 등의 단체를 설립해 12년 동안 5·18항쟁 진상 알리기와 인권·통일운동을 펼쳤다. 윤한봉기념사업회는 한청련이 1989년 문규현 신부와 임수경씨를 평양에 파견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대행진을 주도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19935월 귀국한 윤한봉은 5·18기념재단을 설립하는 데 힘을 쏟았으며, 20076월 수감과 도피의 후유증으로 숨졌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광주인>

    

'518 마지막 수배자' 합수 윤한봉 선생 13주기 추모식

 

한반도 평화 위협하는 한반도 현 정세 대응 논의

미국 인종차별 시위 주도 ‘NAKASEC’ 특별 활동 보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12239_64680_545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375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4년 04월 11일 오후 5:09

카메라 제조 업체 : FUJIFILM

카메라 모델 : FinePixS1Pro

프로그램 이름 : PhotoScape

F-스톱 : 3.4

IOS 감도 : 320

색 대표 : sRGB

프로그램 노출 : 조리개 우선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5·18 마지막 수배자고 윤한봉 선생 생전 모습.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는 오는 27일 오전 11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윤한봉 13주기 추모식을 거행한다. 고 윤한봉 씨는 5.18 마지막 수배자로서 미국에 망명하여 재미 한청련을 조직했다. 한청련은 1980~90년대 5.18 광주 민중항쟁 진상 알리기 등 오월 정신 계승과 조국의 민주화 운동을 지원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1989년에는 문규현 신부와 임수경을 평양에 파견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대행진을 주도한 바 있다.

 

 추모식에는 김은경 이사장과 이용섭 광주시장의 인사말, 문규현 초대 이사장과 최용탁 재미한청련 문화부장의 추도사 순서로 진행된다. 추도사에서는 북-미 회담 결렬 후 악화되고 있는 한반도 정세에 대응하는 당부 등이 담길 예정이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NAKASEC(재미한인교육봉사단체협의회)의 특별 활동 보고가 있을 예정이다. 나카섹은 재미 한청련의 후신으로서 재미동포를 비롯한 해외 이주민들의 권익 쟁취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지금은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주도하고 있다.

   출처 : 광주in(http://www.gwangjuin.com)

<뉴스1>

 

'5·18 마지막 수배자' 합수 윤한봉 선생 13주기 추모식 열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optimize.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373pixel

 

'5·18 마지막 수배자'였던 고 윤한봉 선생의 13주기 추모식이 27일 열렸다.

 

 사단법인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는 이날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역사의 문에서 추모식을 개최했다. 추모식은 연보 소개를 시작으로 김은경 합수윤한봉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인사말을 이었다. 최용탁 재미한청련 문화부장이 추도사, 광주전남 작가회의 추모시, 내벗소리 민족예술단의 추모연주 순으로 진행됐다.

 

 최 문화부장은 추모사를 통해 "낯설고 물설은 이국땅에서 때로는 기대고, 더러는 그 앞에서 울고도 싶은 그런 '형님'이 그리웠다""제 젊은 날, 형님으로 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알 수 없는 먼 곳에서도 여전히 바쁘실 것 같은 형님 그곳에서 뵙겠습니다"라고 말했다.

 

 합수 윤한봉 선생의 활동 소개는 NAKASEC(나카섹·재미한인교육봉사단체협의회)가 보고했다.NAKASEC은 재미 한청련의 후신으로 해외 이주민들의 권익 쟁취운동을 전개하는 인권단체다. 현재는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 관련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주도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을 비롯한 추모식 참석자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한 뒤 윤한봉 선생의 묘소를 찾아 참배하며 행사를 마쳤다.

 

 합수 윤한봉 선생은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74'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의 전남·북 지역 책임자로 지명수배됐다.1심에서 무기징역, 2심에서 국가보안법위반, 내란예비·음모, 긴급조치 1·4호 위반 등으로 징역 15, 자격정지 15년을 선고받아 전남대에서 제적당했다. 이듬해 형집행정지로 풀려났지만 75년 부활절 예배사건에 연루돼 긴급조치 9호 위반 등으로 징역 16개월형을 선고받고 투옥돼 7712월 만기출소했다.

 

 805·18민중항쟁 당시 내란 음모죄 혐의로 현상수배돼 신군부로부터 그는 1981년 미국으로 밀항해 망명생활을 시작했다.미국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망명투쟁과 국제연대주의에 입각한 사회운동을 펼치던 그는 1993년 광주로 돌아왔다. 이후 5·18기념재단 창립을 주도하고 민주사회운동에 헌신하다 60세를 일기로 2007년 타계했다.

hg@news1.kr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